일본 초등학생이 겨울에도 반바지를 입는 이유

일본 초등학교 학생들이 눈이 오는 추운 겨울에도 반바지를 입는 장면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근대화를 추진했던 메이지 유신시대 영국의 영향으로 초등학교 교복에 반바지를 도입한 것이 그 이유이다.

일본 초등학생이 겨울에도 반바지를 입는 이유

일본 초등학생들이 겨울에도 반바지를 입는 것이 메이지 유신 시대 근대화를 하면서 사립학교에서 영국의 사립학교의 영향을 받아 교복으로 한 겨울에도 반바지를 입은 것이 첫 번째 이유이다.

한국에서도는 일본 부모들이 그들의 자식을 강하게 키우기 위한 교육방법이라고 잘 못 알려졌다. 일부 잘못된 정보들이다.

  • 면역력 증가
  • 인내심 증가
  • 추위에 대한 내성 증가

위 내용은 모두 잘못된 정보이다.

영국 사립학교의 반바지 전통

영국은 일찍이 산업혁명의 일환으로 상업계급이 부유하게 되면서 귀족들과의 옷차림과 생활이 별 차이가 없었다. 이런 이유로 귀족들은 일반 상업 계급과 차별을 두기 위해 사치법이라는 것을 만들어 복장에 대해 계급적 차별을 두었다. 이 때 나온 것이 바로 반바지이다.

영국 왕실과 귀족계층의 전통으로 자리 잡은 반바지 문화가 영국이 귀족학교의 오랜 전통이 되면서 아직도 한 겨울에도 반바지 착용이 규칙이다. 이러한 것을 메이지 유신 때 일본이 따라한 것이다.

일본의 반바지 전통

영국에서 유래한 반바지 착용이 일본의 왕실 사립학교와 귀족 사립학교에 그대로 적용이 된다. 일본의 공립학교는 교복의 자유가 있지만 일부 학교에서도 반바지를 입고 등교해야 하는 규정이 있는 학교이다.

그러면 정말 반바지가 학생들의 건강과 면역력에 좋은 것인가? 일본의 의사는 그렇지 않다고 한다. 그러면 왜 아직도 반바지를 교복으로 규정하고 지켜야 하는가?

이는 일본 특유에 문화에 기인한다. 일본인들은 바꾸지를 못한다. 일본에 오래된 가게 많은 이유와 같다. 일본의 오래된 와 사상 때문이다.

아무리 한반도 보다 남쪽에 있어 따뜻하다고 해도 요즘 같은 겨울 날씨에 반바지에 밖에 나간다면 어떨까? 얼마 전에 우리도 중고등학생들이 한겨울에 교복에 패딩을 못 입게 했다고 난리가 났다. 그래서 지금은 자유롭게 교복에 패딩을 입을 수 있다. 불편하면 바꾼다.

그러나 일본은 그렇게 못한다. 와 사상은 계습사회의 기초이다. 그래서 집단의 힘이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며 사회의 안정을 이루는 동시에 권력자는 그자리를 유지하는 체제이다.

누군가 아이가 추우니 겨울에는 반바지 대신에 긴 바지를 입히겠다고 하는 일본인은 없다. 전통을 지키려는 마음이 강한것이 아니다. 자신이 그랬다가 왕따가 될까 두려워서이다.

영국의 왕족들과 귀족들은 아직도 지키고 있다.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영국을 따라한 일본의 일부 사립학교는 바꾸고 싶어도 못한다. 그래서 도라에몽의 진구는 아직도 한겨울에도 반바지를 입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